본문 바로가기
  • 나와 우리의 삶에 기여하는 지식교양

분류 전체보기178

[신간 추천] 독해력 수업 인공지능 시대에 더 중요해진 공부 기본기 독해력 수업 [책 소개] 1. ★서울대 교육학과 신종호 교수 추천!★ AI 시대에도 여전히 독해력이 중요한 이유부터 기억력과 독해력을 향상하는 전략, 읽기 과정에서 주관과 선입관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까지 독해력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는 세상 친절한 교양서 “소설은 좋아해도 이야기가 없는 설명문은 읽기 싫어요!” “독해력? 이과생한테는 관계없는 이야기 아닌가요?” “인공지능이 다 읽어 주지 않을까요?” “책 내용을 요약해주는 유튜브만 있으면 되잖아요!?” “대학에 안 갈 건데 독해력을 길러야 할까요?” AI시대에 굳이 글 읽는 능력을 갖출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아이들과 어떻게 대화를 시작하면 좋을까? 스마트폰과 영상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아이들에게 독해력이.. 2023. 12. 12.
[신간 추천] 우리 안의 인종주의 2023년 9월 메멘토 출판사의 신간 소식을 전합니다. *** 우리 안의 인종주의 -이주 인권 현장에서 본 한국 사회- [간략한 책 소개]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교차하는 길목에서 새로운 길을 찾고 만들어 온 이야기, 그 여정에 함께한 이주민·난민의 이야기를 따뜻하면서도 분석적인 시선으로 펼쳐 보인다.” ―김지혜(, 저자) 20년간의 이주 인권 활동으로 돌아본 한국 사회의 인종, 젠더, 계급 차별 이야기 파키스탄 남성과 결혼한 후 20여 년간 이주 인권 활동가로 일해온 정혜실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동대표가 다문화가족으로 불리는 자신의 가정과, 인권 활동을 하면서 만난 이주민・난민이 처한 현실을 ‘인종주의의 창’으로 들여다본 책입니다. 저자가 결혼한 1994년 당시와 달리 지금은 결혼이민비자(F-6)가 발급되.. 2023. 9. 2.
[책 엿보기: 손쉬운 해결책] "이론을 갖추기 전에 섣불리 거대한 주장을 한 심리학 연구들" 자존감, 그릿, 넛지, 긍정심리학, 무의식의 힘 같은 심리학계의 블록버스터급 아이디어들은, 엄청난 조회수의 테드(TED) 강연, 베스트셀러 도서, 단순한 처방, 전염성 강한 메시지 덕분에 우리 시대의 지배적인 사상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아이디어들의 근간이 되는 과학의 상당 부분이 오류가 있다면 어떨까요? 뒤늦게 부실한 연구, 데이터 조작, 주장 철회, 재현 성공률 25퍼센트라는 불명예스러운 진실이 밝혀졌다면? 『손쉬운 해결책』은 저널리스트 제시 싱걸이 현대 심리학의 8가지 초대형 히트작(자존감, 긍정심리학, 그릿, 넛지, 무의식의 힘, 파워 포즈, 편견 검사, 청소년 슈퍼범죄자 설)을 전방위적으로 분석, 비평한 책입니다. 심리학자 한민(아주대 심리학과)이 『손쉬운 해결책』의 저자 제시 싱걸을 서면으로.. 2023. 7. 14.
[신간 추천: 손쉬운 해결책] 카드뉴스로 보는 #손쉬운해결책 1. 자존감, 그릿, 넛지, 긍정심리학, 파워 포즈, 무의식의 힘... 2. 조회수 수천 만의 테드 강의, 베스트셀러 도서, 단순하고 신속한 처방, 전염성 강한 메시지로 21세기의 주요 사상이 된 행동과학 아이디어들이자 현대 심리학의 초대형 히트 상품들이다. 3. 이 아이디어들의 근간이 되는 과학의 상당 부분이 모호하거나 오류가 있다면 어떨까? 극단적으로 단순한 해결책으로 파괴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며 대중과 언론을 호도하고 있다면? 4. "새빨간 거짓말이었죠." -자존감 연구를 했던 데이비드 샤나호프-칼사의 말 "긍정심리학의 (...) 주요 결론들이 의심받거나, 수정되거나, 심지어 폐기되었다." "성실성이 학교 졸업률을 올린다" 같은 당연한 얘기를 '그릿(끈기)'처럼 그럴듯한 개념으로 하면 열광한다. 5... 2023. 7. 5.
[신간 추천: 손쉬운 해결책] 자기계발 심리학은 왜 당신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가 메멘토의 6월 신간 가 출간되었습니다. [간략한 책소개] “최고의 심리학 비평서” ―폴 블룸(예일대 심리학과) “이 책은 대중 담론의 허상과 폐해를 사정없이 폭로한다.” ―엄기호(사회학자) “즉효약 같은 심리 처방을 찾는 사람들에게, 빠른 길이 늘 옳은 길은 아니라는 진리를 되새기게 하는 책.” ―한민(아주대 심리학과) 자존감, 긍정심리학, 그릿, 넛지, 무의식의 힘, 파워 포즈, 편견 검사, 청소년 슈퍼범죄자 설… 현대 심리학의 초대형 히트상품 8가지에 대한 전방위적 비평서 자존감, 그릿, 넛지, 긍정심리학, 무의식의 힘, 파워 포즈 같은 심리학계의 블록버스터급 아이디어들은, 입소문을 탄 테드(TED) 강연, 베스트셀러 도서, 복잡한 문제에 대한 단순하고 신속한 처방 덕분에 우리 시대의 지배적인 사상이.. 2023. 6. 21.
[신간 추천: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서양 학술용어 번역과 근대어의 탄생 오랜만에 신간 소식 전합니다.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서양 학술용어 번역과 근대어의 탄생 야마모토 다카미쓰(山本貴光) 지음/ 지비원 옮김 2023년 2월 27일 초판 1쇄 발행 ISBN 979-11-92099-21-7 (93730) 568쪽 / 35,000원 ★세종도서 학술부문(2023) ★ 제64회 한국출판문화상 올해의책(번역 부문 본상) ★ 출판인이 추천한 올해의 번역서(시사인, 2023) [간략한 책소개]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50년 전 서양 학술 용어와 체계를 번역, 소개한 어느 일본 지식인이 그린 근대지(近代知)의 지도 희철학(希哲學), 가취론(佳趣論), 격물학(格物學), 치지학(致知學), 통고학(通古學), 계지학(計誌學)은 오늘날 어떤 학문을 가리킬까? 이들 각각은 Ph.. 2023. 3. 6.
메멘토 도서목록-2022년 2022년 도서목록 엑셀파일 올립니다. 올해 신간 4종, 개정판 2종을 출간했네요. 내년에도 비슷한 종수의 책을 출간할 예정입니다.^^ 신간: 개정판: (사진: 전주 청동북카페에서 메멘토 도서를 특별히 전시해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2022. 11. 16.
[신간 추천: 글쓰기의 최전선 개정판] 글쓰기 연결자 은유의 '삶의 옹호로서의 글쓰기론' 글쓰기 연결자 은유의 ‘삶의 옹호로서의 글쓰기론’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독자를 글쓰기의 열망으로 고양”시키고, “혼자가 아니라 ‘함께’ 읽고 쓰고 싶다”고 마음먹게 하는 책 『글쓰기의 최전선』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새로운 표지로 단장하고, 유용한 추천도서 목록으로 각광받은 「글쓰기 수업 시간에 읽은 책들」을 다시 정리하는 등 2015년 초판 출간 후의 변화를 반영하였습니다. “읽기와 생각하기와 쓰기에 대한 매우 깊은 성찰”이 담긴 산문집이자,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누구나 맞닥뜨리게 되는 문제와 고민에 대한 다정한 조언집이며, 글쓰기 수업 전과 후 학인들의 변화를 기록한 수업 일지. 『글쓰기의 최전선』은 ‘느끼’는 것에 굶주린, ‘나’와 ‘삶’의 한계를 뒤흔들고자 하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 2022. 11. 8.
[신간 추천: 로맨스 영화를 읽다] 카드뉴스로 보는 <로맨스 영화를 읽다> 1. 우리가 사랑했던 로맨스 영화들을 기억하나요? , , , 3부작… 2. 냉소와 불신의 시대에도 사랑과 희망을 이야기해야 하는 것이 로맨스 영화의 숙명일 터 3. 신자유주의 시대, 대도시의 일상, 여성주의, 퀴어 같은 동시대의 화두에 로맨스 영화는 어떻게 답해왔을까요? 4. 여성주의적 로맨스는 가능한가? - 5. 성소수자의 사랑을 그리는 로맨스 영화들이 최근 각광받는 이유 - 6. 신자유주의 시대, 사랑은 어떻게 변해가는가? - 7.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노라 에프런, 아녜스 바르다, 에리크 로메르, 리처드 링클레이터, 켄 로치… 사랑의 위기에 대한 거장들의 영화적 말 걸기 8. ★ 《씨네21》 이다혜 기자 추천★ “영화사를 돌아보는 동시에 사회상의 변화를 짚어가며 로맨스 영화를 만들어내고 소비한 문화.. 2022. 9. 7.
[신간 추천: 로맨스 영화를 읽다] 로맨스 영화 명작으로 읽는 사랑의 인문학 메멘토문고/나의독법 네 번째 책 가 출간되었습니다. [간략한 책소개] 로맨틱 코미디의 여제 노라 에프런의 부터 퀴어 로맨스 영화 까지, 영화사에 빛나는 19편의 로맨스 영화를 읽으며, ‘낭만적 사랑’의 위기가 어떻게 영화에 반영되는지, 오늘날 정치사회의 쟁점들과 로맨스 영화가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 낭만적 사랑 자체에서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규범을 끌어낼 수 없는지를 본격 탐구한 책이다. 여성주의적 로맨스는 가능한가? 성소수자의 사랑을 그리는 로맨스 영화들이 최근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랑을 꿈꾸기 어려운 오늘날 청춘들의 몸은 어떻게 욕망을 발산하는가? 신자유주의적 경쟁사회에서 사랑은 어떻게 변해가는가? 사랑은 사적인 감정이 아니라 현대성을 관통하는 열쇠다. 이 책은 사랑을 사유해온 인문학과 로맨스 .. 2022. 9. 1.